김윤태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윤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사회학자이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및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영국문화원 장학생, 국회도서관 관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새천년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등에서 정치 활동을 했으며, 제16대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저서로는 《제3의 길》, 《재벌과 권력》 등이 있으며, 여러 학술 논문 및 강연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산고등학교 동문 - 강봉균 (정치인)
강봉균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차관, 정보통신부 장관,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 정책을 주도하며 외환위기 극복에 기여했다. - 군산고등학교 동문 - 은성수 (공무원)
은성수는 행정고시 수석 합격 후 재무부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 한국투자공사 사장,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동문 - 피에르 트뤼도
캐나다의 제15대 총리인 피에르 트뤼도는 자유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법무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총리 재임 시절에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캐나다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장남 쥐스탱 트뤼도 또한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동문 - 존 F. 케네디
존 F. 케네디는 미국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이자 최초의 가톨릭 대통령으로,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해군 복무, 상원 의원 활동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며 쿠바 미사일 위기 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개척지" 정책을 추진했으나 1963년 암살당했다. - 군산시 출신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군산시 출신 - 강봉균 (정치인)
강봉균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차관, 정보통신부 장관,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 정책을 주도하며 외환위기 극복에 기여했다.
김윤태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윤태 |
원어 이름 | Yun-Tae Kim |
![]() | |
출생일 | 1965년 0월 0일 |
출생지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국적 | 대한민국 |
성별 | 남성 |
본관 | 광산 |
학력 | |
학교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
학위 | 케임브리지 대학교 발전학 |
학위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 박사 |
직업 | |
직업 | 고려대학교 교수 |
정당 |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2. 학력
3. 경력
경력 |
---|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30개월 수감된 민주화 운동가)[7] |
영국문화원 장학생[7] |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제13대 관장[7] |
고려대학교 강사[7] |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7] |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 공공사회학전공 교수[7]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7] |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객원교수[7] |
베를린 자유 대학교 초빙교수[7]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교수[8] |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 정강기초회 자문위원[7]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부대변인[7] |
새천년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마포구 갑 지구당위원장[7] |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소장[7] |
한국사회정책학회 부회장[7] |
한국사회학회 이사[7] |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7]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7] |
더불어민주당 전라북도당 군산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및 사회복지학과 교수[7] |
고려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사회정책연구센터 소장[7]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부회장[7] |
참여연대(비영리단체) 사회복지 자문위원[7] |
고려사회여론연구소 국회 정책 연구 위원[7] |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7] |
4. 정치 활동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30개월간 수감된 경력이 있다.[7] 영국문화원 장학생으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 정강기초회 자문위원을 지냈고,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부대변인을 맡았다. 새천년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마포구 갑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했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및 전라북도당 군산시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4. 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서울 마포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2,100표(45.04%)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
4.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전북 군산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44,730표를 얻어 34.7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위로 낙선하였다.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0년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새천년민주당 | 32,100 (45.04%) | 2위 | 낙선 | 마포구 갑 |
2016년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더불어민주당 | 44,730 (34.75%) | 2위 | 낙선 | 군산시 |
6. 저서
김윤태는 단독 저서와 공저를 포함하여 다양한 책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 《제3의 길》(1999), 《재벌과 권력》(2000), 《자유시장을 넘어서》(2007), 《한국 재벌과 발전국가》(2012), 《불평등이 문제다》(2017) 등이 있다.
2007년에는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에 대한 공저서를 출간했으며, 《창의성에 관한 11가지 생각》(2009), 《새로운 진보의 길》(2009), 《한국 복지국가의 전망》(2010), 《내 아이가 살아갈 행복한 사회》(2012), 《빈곤》(2013), 《한국정치, 어디로 가는가》(2014),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2017) 등을 공저로 출간하여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세계화와 국민 국가: 한국의 사례〉, 〈신자유주의와 발전 국가의 쇠퇴〉 등 학술 논문도 발표했다.
6. 1. 단독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비고 |
---|---|---|
1999 | 제3의 길 | |
1999 | 신자유주의와 발전 국가의 쇠퇴 |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volume 29, Issue 4, 441–461, doi:10.1080/00472339980000231 |
1999 | 세계화와 국민 국가: 한국의 사례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1999년 9월 2:3–21, doi:10.1177/223386599900200201 |
2000 | 재벌과 권력 | |
2001 | 변화의 바람 | |
2003 | 소프트 파워 시대 | |
2007 |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 |
2007 | 자유시장을 넘어서 | |
2008 | Bureaucrats and Entrepreneurs | |
2011 | 캠퍼스 밖으로 나온 사회학과 | |
2012 | 한국 재벌과 발전국가 | |
2012 | 새로운 세대를 위한 사회학 입문 | |
2015 | 사회적 인간의 몰락 | |
2015 |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 | |
2017 | 모두를 위한 사회과학 | |
2017 | 불평등이 문제다 | |
2018 | 정치사회학: 국가, 권력, 정치갈등의 사회학적 이해 | |
2019 | 문화사회학의 이해 | |
2022 | 앤서니 기든스 | |
2023 | 어쩌다 대한민국은 불평등 공화국이 되었나 | |
2015 | 인류와 사회의 붕괴 | |
2012 | 한국 재벌과 개발도상국 | |
2011 | 모두를 위한 사회학 | |
2007 | 자유 시장을 넘어 | |
2007 | 교양 시민을 위한 세계사 | |
2003 | 소프트 파워 시대에 | |
2001 | 변화의 바람 | |
2000 | 재벌과 권력 | |
1999 | 제3의 길: 토니 블레어와 영국의 선택 |
6. 2. 공저
출판 연도 | 제목 |
---|---|
2007 |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
2009 | 창의성에 관한 11가지 생각 |
2009 | 새로운 진보의 길 |
2010 | 한국 복지국가의 전망 |
2012 | 내 아이가 살아갈 행복한 사회 |
2013 | 빈곤 |
2014 | 한국정치, 어디로 가는가 |
2017 |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 |
6. 3. 학술 논문
7. 강연
8. 수상
연도 | 도서명 | 비고 |
---|---|---|
2022 | 한국의 불평등한국어 (공저)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2019 | 사회복지의 전환한국어 (공저)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2018 | 불평등이 문제다한국어 | 문화부 세종도서 우수도서 선정 |
2016 |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한국어 |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2013 | 빈곤: 어떻게 싸울 것인가한국어 (공저) | 2014년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2010 | 한국 복지국가의 전망: 새로운 도전, 새로운 과제한국어 (엮음) | 2011년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2009 | 창의성에 관한 11가지 생각한국어 (엮음) |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 올해의 청소년도서 선정 |
2007 |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한국어 |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
참조
[1]
뉴스
더민주 군산지역구 김윤태 교수 전략공천
http://www.newsis.co[...]
Newsis
2016-03-18
[2]
뉴스
'전략공천' 김윤태 고려대 교수, 군산시 총선 출마 선언
http://www.yonhapnew[...]
Yonhap
2016-03-21
[3]
뉴스
군산 정가...386 정치인 핵심 부상
http://m.ohmynews.co[...]
OhmyNews
2002-03-12
[4]
뉴스
김윤태 고려대 교수...더욱 발전하는 군산, 살기 좋은 군산 만들기 진력
http://www.dailyjeon[...]
Daily Jenbuk
2008-06-16
[5]
뉴스
김윤태 후보 '상처 입은 군산 자존심 세우겠다'
http://news1.kr/arti[...]
news 1
2016-03-21
[6]
웹사이트
Naver biographical dictionary
http://info.nec.go.k[...]
2016-04-04
[7]
뉴스
"[인터뷰] 김윤태 국회도서관장"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02-10-29
[8]
웹인용
네이버인물사전
http://people.search[...]
2016-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